서원군계(西原君系)
질경공 한치형(質景公
韓致亨 : 세종 16년(1434) ~ 연산 8년(1502)
14世)
조선 초기의 문신, 자는 통지(通之),
시호는 질경(質景), 정랑공(正郞公 : 질)증
영의정의 아들로, 순창공(淳昌公 : 永정) 증
영의정의 손자이며 어머니 증 정경부인 한양
조씨(漢陽 趙氏)는 도총제공(都摠制公 : 敍)의
따님이다. 문종 1년(1451) 호위청 기사(扈衛廳
記事)로 음보된 뒤 직장, 감찰, 지평, 장령,
소윤, 판결사, 승지, 참판, 동지중추부사 등을
거쳐 대사헌이 되었다. 성종 2년(1471)
좌리공신(佐理功臣) 3등에 녹훈되고 청성군(淸城君)에
봉하여졌으며 형조판서에 승진되었다. 그 뒤
개성부유수, 경기도관찰사, 한성부판윤, 도총관,
공조와호조, 병조 판서, 판의금부사, 평안도
관찰사, 좌우참찬과 찬성을 역임하였고 연산군
2년(1496) 우의정에 올라 동군 4년 좌의정,
이어 동군 6년 영의정까지 올랐다. 동군 8년
천수(天壽 : 타고난 목숨)를 다하니 모든 백성들의
애도(哀悼 : 사람의 죽음을 서러워함)속에
예장(禮葬 : 국장)하고 나라에서 시호를 질경(質景)이라
내렸다.
성종 때에 주청사(奏請使), 성절사(聖節使),
사은사(謝恩使)등으로 다섯 차례나 명 나라에
다녀오고 명 황제로부터 정一품만이 차는 서대(犀帶
: 물소의 가죽으로 만든 허리띠)를 하사받았으며
명나라와의 외교에 많은 공(功)을 세웠다.
당시 우리나라에서는 명나라의 명절과 경사
때마다 사신을 보내고 그때마다 금은보화(金銀寶貨)와
인삼(人參), 호피(虎皮) 등 심지어는 우리나라에서
구할 수 없는 물건까지도 명나라의 요구에
따라 많은 공물(貢物)을 바쳐왔다.
이로 인하여 나라의 재정과 백성들의
생활고는 도탄(塗炭 : 몹시 곤란함)에 빠질
지경에 이르렀다. 공은 명 황제에게 이 실정을
설명하고 공물을 감소(減少 : 줄여 적게 함)하여
줄 것을 상소하여 그 뒤부터는 절반 이하로
감소되었다.
연산군이 등극하여 폭정이 시작되자
그 일거일동에 대하여 수시로 충간(忠諫 :
충성을 다하여 간함)하고 무능 또는 신병을
이유로 여러 차례 사직코자 하였으나 허락을
받지 못하였다. 그 뒤 공과 좌의정 성준(成俊),
우의정 이극균(李克均) 등 공동 명의로 낸
《10조 상소문》을 비롯하여 수백 차례
충간하였으므로 연산군도 감히 폭정하지 못하고
멈추거나 주저하다가 공이 돌아가자 이때부터
폭정이 더욱 심하였고 공이 자기의 의사에
순종하지 아니하였다 하여 불충(不忠 : 임금을
배반함)한 자로 몰고 또 자기의 생모 윤비(尹妃)를
폐출시킨 모의에 가담하였다고 허구(虛構 :
사실이 없는 일을 얽어 만듦)하여 삭탈관직과
일가가 몰살 당하는 등 불행한 일을 당하였으나
중종반정 즉시 중종은 공을 복관작하고 부조지전의
특명을 내렸다.
공은 홀로 되신 어머니를 섬김에
효성이 지극하여 왕으로부터 누차 포상을 받은
바 있다.
배위는 두 분인데, 초배(初配)정경부인
완산 이씨(完山 李氏)는 양녕대군 제(讓寧大君
: 시)의 따님이고 계배(繼配) 정경부인 단양
우씨(丹陽 禹氏)는 부사공(府使公 : 延)의
따님인데 두 분 다 자녀를 못 낳고 부실(副室)에서
아들 사자(獅子)가 있다. 고로 황간공(黃潤公
: 迹)을 계후입양하였다.
所在地 : 楊州郡 長興面 三上里
歲享日 : 春秋節祀 및 陰 10月 3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