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절록(忠節錄)
승지공
한 훈 (承旨公 韓 訓 : ? ∼燕山君10年(1504)15世)
공(公)의
자(字)는 사고(師古)요 號는 죽창(竹 )이다.
세조(世祖)5년에 태어났다. 전라수사(全羅水使)를
지낸 충인(忠仁)의 아들이요, 감사공(監司公)
전(전)의 손자이다. 공(公)이 진사(進士)를
거쳐 성종(成宗) 25년(1494) 별시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연산군(燕山君) 1년(1495) 정언(正言)을
지내고 그후 수찬(修撰)으로서 김안로(金安老)를
탄핵(彈劾)하였다.
광해군(光海임금)때
김안로(金安老)가 선량(善良 : 善流) 한 관리(官吏
: 선비)들을 많이 모해(謨害)하자 피신(避身)하는
선비도 있었으나 公은 스스로 나아가 화(禍)를
당(當)하였다, 연산군 3년(1497)에는 이조에서
그 한사람 만을 홍문관부교리로 추천하자
헌납 손중돈(孫仲暾) 이 추천의 부당성을 제기,
논박하여 죄 주기를 청하였는데 신수근의 정병(政柄)에
힘입어 탄핵이 면해졌다. 1498년 김일손(金馹孫)과
함께 성종의 묘제의(廟制議)를 송나라 인종(仁宗)의
고사(故事)에 따라 백세불천지주(百世不遷之主)로
할것을 기초(起草)한 사건에 연루되어 이성(利城)에
부처되었으나, 1501년 특방(特放)되었다.
1504년
김 감(金 勘), 임사홍(任士洪), 강훤(姜渾)등이
이극균(李克均), 이세좌(李世佐), 윤필상(尹弼商),
조지서(趙之瑞), 이주(李胄), 한훈(韓訓),
홍식(洪湜), 전향(田香), 수근비(水斤非)의
죄명문(罪名文)을 진사(進辭)하면서,"한
훈 은 간원(諫員)으로서 임금을 업신 여기는
마음을 품고 도리에 어긋난 말을 하니 형법에
따라 그 죄를 엄히 다스리려고 했다. 연산군10년(1504)에 졸하셨다.
그 뒤에 도승지(都承旨)에 추증(追贈) 되었다.
아들은 진사 곤(進士 鯤),참판 붕(參判 鵬)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