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간공계(平簡公系)

 
충성공 한명회(忠成公 韓明澮 : 太宗 15年(1415)~成宗 18年(1487) 14世)
公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태종(太宗) 15년(1415)에 태어났다. 자는 자준(子濬)호 는 압구정(狎鷗亭) 사우당(四友堂)이다. 감찰공(監察公 起)의 아들이오 문렬공 상질(文烈公 尙質)의 손자이다. 일찍이 부모를 여읜 후 종조부(從祖父)인 상경(尙敬)과 상덕(尙德)에게 의지하여 자랐는데 항상 비범한 인재(人材)로 생각했고 자라면서 사가 서거정(四佳 徐居正)과 길창군 권 람(吉昌君 權 擥)과 교우(敎友)하였다. 문종(文宗) 2년 (1452) 경덕궁직(敬德宮直)에 나가니 38세 때였다. 문종 다음 단종(端宗)은 나이 어리고 김종서(金宗瑞)의 세력이 조심스러울 때 권 람의 주선으로 수양대군(首陽大君)의 초청을 받아 공과 함께 반정(反正)의 뜻을 꾀하였다.
 公은 무사(武士)인 홍달손(洪達孫)등 30여 인을 추천하여 그의 심복을 삼게 하였다. 단종 1년(1453) 계유정난(癸西靖難)때에는 수양대군의 심복참모로서 큰 공을 세워서 군기녹사(軍器錄事)가 되고 수충위사 협책정난공신(輸忠衛社 協策靖難功臣) 1등으로 사복시소윤(司僕寺少尹)에 올랐다. 이듬 해 승정원동부승지(承政院同副承旨)가 되고 1455년 세조(世祖)가 즉위하자 좌부승지에 승진되고 그 해 가을 동덕좌익공신(同德左翼功臣) 1등으로 우승지(右承旨)가 되었다.
 세조 2년(1456) 성삼문(成三問) 등 사육신(死六臣)의 단종복위운동을 좌절시키는데 공이 있어 좌승지를 거쳐 도승지(都承旨)에 오르고 왕곁에서 정사(政事)를 도우니 왕은 나의 자방(子房)이라 하였다. 이듬 해 이조판서(吏曹判書)에 올라 상당군(上黨君)에 봉해졌으며 이어 병조판서가 되었다. 동왕 5년(1459) 황해, 평안, 함길, 강원 4도의 도체찰사(都體察使)를 지내고 동왕 7년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에 진봉되었으며 이듬 해 우의정에 이어 1463년 좌의정을 거쳐 1466년 영의정이 되었다. 권람, 신숙주(申叔舟) 등과 인척관계를 맺고 세조 치정에 크게 기여하였다. 1466년 이시애(李施愛)가 함경도 에서 반란을 일으키자 신숙주와 함께 반역을 꾀하였다는 혐의로 피체, 신문을 당하였으나 혐의가 없어 곧 석방되었다. 1468년 세조가 죽자 세조의 유교(遺敎)에 따라 원상(院相)으로서 서정(庶政)을 결재하였다. 같은 해 남이(南怡)의 옥사(獄事)를 다스린 공으로 익대공신(翊戴功臣) 1등에 책록되고, 1469년(예종1) 다시 영의정에 복직되었으며, 이 해에 예종이 죽고 성종이 즉위하자 병조판서를 겸임하였다.
 성종(成宗) 2년(1471) 좌리공신(佐理功臣) 1등에 책록되고 그해 영춘추관사로서 최 항(崔恒), 신숙주 등과 함께 《세조실록》을 완성하였으며, 성종에게 학문을 진흥시킬 방안을 제시하였고, 서적이 부족한 성균관의 장서 확충을 위하여 경사(經史) 관계의 서책을 많이 인출하여 비치하게 하고 사재(私財)를 많이 내놓았다.
 동왕 14년(1833) 세자책봉(世子策封)을 주청하고 연경(燕京)에 갈 때 69세였으니 명황제는 노한(老韓)이 다시 오셨다고 환대하였다. 다음 해 70세로 사임하려 해도 윤허하지 않고 궤장(궤杖)을 하사하였다.
 동왕 18년(1487)환후(患候)가 심하니 왕은 어찰(御札)을 보내 위로케 하고 도승지 (都承旨)를 보내어 하고 싶은 말을 물음에“성왕(聖王)께서는 모든 왕보다 뛰어나시니 밝은 성대(聖代)를 떠나게 되어 오직 이를 못잊을 뿐이라”하였다. 끝내 운명(殞命)하니 향년(享年)이 73세였다. 왕은 부제(賻祭)를 내리고 시호(諡號)를 충성(忠成)이라 하였으며 세조묘(世祖廟)에 배향(配享)되었다. 아들은 낭성군 보(琅城君 堡)외 여러분 이고 딸 둘은 장순왕후(章順王后)와 공혜왕후(恭惠王后)이다.
 公의 배위(配位) 황려부부인 민씨(黃驪府夫人 閔氏)는 증 우의정 대생(贈 右議政 大生)의 따님으로 1남 4녀를 생하니 남 보(堡)는 좌리공신에 낭성군(琅城君)이요 여장은 봉례 신주(奉禮 申澍), 차는 영천군 윤 번(鈴川君 尹 磻), 차는 장순왕후(章順王后 : 예종비)니 공릉(恭陵)에 안장하고 차는 공혜왕후(恭惠王后 : 성종비)로 순릉(順陵)에 안장하였는데 모두 홀로이다.  


 公은 성종 18년(1487)11월 14일 졸함에 철조(轍朝 : 政事를 휴무함)하고 조제(弔祭)하여 예장(禮葬)하기를 전례(前例)와 같이하였다. 다음 해 1월 11일 장명등(長命嶝) 임좌병향(壬坐內向)에 안장하였다. 이 해 11월 16일 좌승지(左承旨) 한 언(韓 堰)이 왕에게 아뢰기를 백부(伯父) 한명회의 상장(喪葬)에 수용(需用)되는 바는 국가에서 이미 갖추어 주었으니 어찌 부족함이 있겠습니까? 다만 백부가 항상 말하기를 내가 죽은뒤에 반드시 평생의 일을 기록하여 묘곁에 돌을 세워서 후인(後人)들로 하여금 누대 (累代)의 은총(恩寵)을 지극하게 받은 것을 보게 하라 하였습니다. 그런데 비석을 운반 하기가 어렵습니다. 하니 전교(傳敎)하기를 경유(經由)하는 여러 고을에서 운반하게 하라 하였다. 승정원(承政院)에 전교하기를 빈소에 제사(祭祀)하니 부의(賻儀)를 많이 내리라 하였다. 왕(王)이 평소에 공(公)에게 사패지(賜牌地)를 내리고자 하였으나 완강히 거절하였으며 황려부 부인 민씨(黃驪府 夫人 閔氏)가 성종 21년(1490) 1월 28일 졸한 후 성종 23년(1492) 4월 3일 노비(奴비) 8구와 전지(田地) 60결(結)을 사급(賜給)하였다. 아들 낭성군 보(낭城君 堡)가 이를 이었다. 황려부부인 민씨의 묘는 상조(上兆) 인데 성종22년(1491) 6월에 입비(立碑)하였다.
 신도비(神道碑)가 풍화작용 (風化作用)으로 마멸(磨滅)되어가니 문화재(文化財)를 보호하기 위해 천안시(天安市)에서 1997년 10월 비각(碑閣)을 세웠다.

 
신도비의 비각을 세우기 위해 비 2m 사방(四方)을 파니 동(東)쪽에서 지석(誌石)이 나 왔는데 내용(內容)은 다음과 같다.
 하절(夏節)에 왕세자를 왕(王)께서 허락(許諾)하여 온양천(溫陽泉)에서 목욕하고 제주정(濟州亭)에서 왕세자(王世子 · 世祖)를 전송하고 길주(吉州)의 이시애(李施愛)의 반역(反逆)을 선동(煽動)하여 살해(殺害)하고 모든 백성(百姓)이 유언(流言)비어를 만들어 공(公)을 모함 했으나 조정(朝廷)에서는 공(公)의 고명(高明)함을 의심치 아니하고 난(亂)이 평정(平定)되어 이미 끝나 주상(主上)께서는 무고(誣告)가 거짓임을 알게 되어 용서하시고 친(親)히 어찰(御札)을 보내오셨다. 공(公)의 충섬(忠心)을 하늘도 알고 주상(主上)도 알았으니 크게 기뻐하셨다.
 공의 배위(配位) 황려부부인 민씨(黃驪府夫人 閔氏)는 공묘의 상조(上兆)에 안장(安葬)하고 다음 해(1491) 6월에 입비立碑)하였다. (황려(黃驪)는 고려 초의 여주(驪州)의 이름이다.)
 신도비는 성종(成宗) 19년 (1488) 5월 일 사가 서거정(四佳 徐居正)이 찬(撰)하여 입석(立石)하였다. 공 묘의 우측 30m 되는 곳에 있다.
 신도비는 1994년 11월 4일 충청남도 문화재(忠淸南道 文化財) 제332호로 지정(指定)되고 천안시 (天安市)에서는 비각(碑閣)을 세우기에 이르렀다.
 공의 사당(祠堂)인 부조묘(不조廟)를 1938년에 서천 주항 종중(舒川 酒缸 宗中)에서 건립하고 위패(位牌)를 봉안(奉安)하고 매년 음 11월 13일(忌日) 향사하여 왔으나 거리 관계로 운영이 어렵더니 1993년 7월 28일 충성공파 총회에서 공묘 장명등하에 충성공 사당 건립을 결의하고 1995년 11 월 29일 준공식(竣工式)을 갖게 되니 본당(本堂)은 25평이고 부속 건물이 10평이다.
 건축재원은 전국직방계손(全國 直傍系孫)의 헌성(獻誠)에 의했다. 사명(祀名)은 충모사(忠慕祠) 로 하였다. 그 외 묘역정화(墓域 淨化)등 모두를 충성공파 회장 희현(忠成公派 會長 喜炫)이 주관 (主管)하였다.


 墓:忠南 天安市 修身面 涑倉里 長命燈 歲享日 : 양 4月 6日, 음10月 2日, 음 11月 14日(卒日)

 
번호     이 름 조회
1 한란 3936
2 한악 2899
3 한대순 2938
4 한공의 2761
5 한방신 3862
6 한수 2715
7 한리 2571
8 한상경 2727
9 한확 3935
10 한명회 4166
11 한명진 2614
12 한계미 2740
13 한계희 3794
14 한계순 3872
15 한백륜 2923
16 한종손 3321
17 한치인 3148
18 한치의 2959
19 한치례 2590
20 한치형 2707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