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자유게시판 이용시 참고사항

1) 회원가입 후 글쓰기가 가능하오니 회원가입 후 이용바랍니다.

2) 건전한 의견과 토론은 환영하지만 불순한 언어나 광고, 욕설 및 종인 등을 비방하는 내용은

    절대 허용하지 않으며 바로 삭제 하겠습니다.

ㆍ작성자 한스
ㆍ작성일 2012-03-28 (수) 13:26
ㆍ추천: 0  ㆍ조회: 1284       
ㆍIP: 110.xxx.73
양절공.참의공.정랑공 형제
12셰:城府院君(韓 永 矴 )(서성부원군 한 영 정)
                                   淳昌郡事 贈 領議政府事 西城府院君(순창군사 증 영의정부사 서성부원군)
                                   子 女 : 確. 磌. 질. 明太宗麗妃. 明宣宗恭愼夫人
13세:襄節公(韓 確)(양절공 한 확) 13세 조선 정종 2년~ 세조2년(1400~1456)
13세:叅議公 韓 磌(참의공 한 전)13세 조선태종 8년(1408)~세종29년(1447)
13셰:正郞公(韓 石+失)(정랑공 한 질)13세 大匡輔國崇祿大夫 補祚功臣 贈 領議政 淸城府院君  
이름아이콘 한스
2012-03-30 17:47
襄節公(韓 確)(양절공 한 확) 13세 조선 정종 2년~ 세조2년(1400~1456)  輸忠衛社協贊靖難同德佐翼功臣 大匡補國崇錄大夫 議政府左議政兼 領經筵事 西原府院君 贈諡襄節韓公(諱 確)(수충위사협찬정난동덕좌익공신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좌의정겸 영경연사 서원부원군)조선 초기의 문신. 자는 자유(子柔),호는 간이재(簡易齋),시호는 양절(襄節)이다. 증 영의정 순창공(淳昌公:永矴)의 아들로 증 판서 녹사공 녕(錄事公:寧)의 손자이며 어머니 증 정경부인 의성 김씨(義城 金氏)는 의성군(義城君)인 양소공 영렬(義昭公:英烈) 의 따님이다.태종 18년(1418)공의 나이 19살 때 명황제의 소명(召命)을 받고 명나라에 들어가 봉의대부 광록시소경(奉議大夫 光錄寺少卿)에 제수되었다. 때마침 태종이 세종에게 양위하게 되자 명조(明朝:명나라 조정)에서 이를 책봉(冊封)하는 명 황제의 정사(正使) 로서 우리나라에 들어오니 온나라가 공의 풍채(風采:인품)를 선망(羨望:부러워함) 하였다. 그 뒤 여러 관직을 거쳐 세종 17년(1435)자헌대부 중추원부사,동왕 21년 한성부사,경기도관찰사,정헌대부중추원사,동왕 22년 병조판서,함경도관찰사,동왕 25년 동지중추원사,한성부판윤,동왕 26년 다시 병조판서 겸 지중추원사,동왕 27년 이조판서,동왕 28년 판중추원사로 승진되었다가 다시 평안도 관찰사로 평양판윤과 평안도 병마도절제사까지 겸임하여 문무관직을 통할(統轄)하였다. 동왕 32년 문종이 즉위하자 판중추원사로 소환(召還)되었고 문종 2년(1452)의정부 좌찬성이 되었다.단종 원년(1453)정란공신(靖難功臣)으로 의정부 우의정(議政府 右議政)서성부원군(西城府院君)에 탁승(擢昇:발탁하여 승진시킴)되었으며 세조 즉위 초에 좌의정에 승진,좌익(左翼)공신 호를 내리고 서성부원군을 서원부원군으로 개봉 (改封)하였다. 세조 원년(1455)봉명사신(奉命使臣)으로 북경(北京:명나라 수도)에 들어가 사명 (使命)을 완수하고 동왕 2년 환국 도중 단주 사하역(湍州 沙河驛)에서 원로 피로(遠路 疲勞)에 의한 병환으로 여사(旅舍)에서 별세(別世)하였다. 세조는 3일간의 조례(朝禮)를 철폐하여 애도(哀悼)의 뜻을 표하며 부의(賻儀)를 하사 하고 예관을 파견하여 영구(靈柩:시체를 넣은 관)를 맞이하도록 하고 당시 도승지(忠成公 韓明澮)에게 하명하여 호상일체(護喪一切)를 관장케 하여 예장(禮葬)하고 시호를 양절(襄節)이라 내렸다.그 뒤 부조지전(不조之典)의 특전을 내리고 성종 원년(1470) 세조 묘정에 배향되었다. 동왕 2년 선세자를 덕종대왕(德宗大王)으로 세자빈 한씨(韓 氏)를 소혜왕후(昭惠王后)로 추존(追尊:사후에 존호를 올림)함에 따라 공은 왕비의 아버지이므로 국구(國舅)로 추봉(追封)되었다.배위는 남양부부인 홍씨(南陽府夫人 洪氏)니 이조판서와 대제학을 지낸 문양공 여방(文良公:汝方)의 따님이다. 슬하에 3남 6녀를 낳으시고 장남은 공안공(恭安公:致仁)이요 차남은 장도공(章悼公:致義)이며 3남은 장간공(莊簡公:致禮)이다.1녀는 첨지중추부사공 이계녕(李繼寧),2녀는 계양군 증(桂陽君 增),3녀는 현령공 김자완(縣令公:金自琓),4녀는 동지중추부사공 최 정(崔 정), 5녀는 사직공 권집(司直公:權輯)에게 각각 출가하고 6녀는 덕종대왕비인 소혜왕후(昭惠王后)이시다.부실(副室)에서 6남을 낳으니 장남 은 사직공 류산(榴山),2남은 어모장군공 유산(柚山)이고 3남은 어모장군공 감산(柑山)이며 4남은 시산(枾山),5남은 이산(梨山),6남은 사과공 도산(桃山)이다.모두 명나라에서 성장(成長)하다가 우리나라에 와서 벼슬까지 올랐으나 다시 명나라에 돌아가 그 후손들이 중국에 살고 있다고 전하여 온다.位置:南楊州市 鳥安面 陵內里 歲享日:寒食日 秋夕節 忌察祀.

증 남양부부인 홍씨(贈 南陽府夫人 洪氏:태종 4년(1404) ~세종 32년(1450)) 부인(夫人)은 양절공(襄節公:韓 確)의 배위(配位)이다.성(姓)은 남양 홍씨(南陽 洪 氏)이니 명성(名聲)이 높은 가문(家門)이다.고려조 때부터 대대(代代)로 공경 재상(公卿 宰相:고위 고관과 제왕을 도와 정무를 총리하는 대신)이 이어져 왔고 도덕(道德) 과 문장(文章)이 당대(當代)에 제일 높았던 보문각 대제학(寶文閣 大堤學)문양공 여방(文良公 汝方)의 따님으로 조선조 개국공신(朝鮮 開國功臣)이요 남양군(南陽君)집현전 대제학(集賢殿 大堤學)문경공 길민(文景公:吉旼)의 손녀이며 부윤공(漢陽府尹:鄭符)의 외손녀다.부인은 나면서부터 자질(資質)이 범인(凡人)들과는 특이(特異)하고 어려서부터 안색 (顔色)이 온화(溫和)하고 기품(氣品)이 유순(柔順)하며 장성(長成)해서는 언어(言語)가 과묵(寡默:침착하고 말이 적음)하고 행동이 근엄(謹嚴:조심스럽고 엄숙함)하며 부모에게도 혼정신성(昏定晨省:조석으로 부모의 안부를 물어서 살핌)과 동온하정(冬溫夏정:겨울에는 따뭇하게 여름에는 서늘하게 한다는 말)하는 효도(孝道)에 태만함이 없었으며 스승의 교훈(敎訓)을 받지 않고도 일거일동(一擧一動)이 예절(禮節)에 어긋남 이 없었으므로 문양공이 사랑하고 귀중(貴重)하게 여기더니 양절공의 배위가 되었다. 오한(吾韓)에 오시어 공순(恭順)하고 근검(勤儉:부지런하고 알뜰함)하게 처신(處身)하고 구고(舅姑:시아버지와 시어머니)를 섬기며 제사(祭祀)를 받드는데 존경(尊敬)과 정성(精誠)을 극진(極盡)히 하고 친척간에 화목하며 노비(奴婢)를 은애(恩愛)로 써 거느리고 자녀(子女)들로 하여금 문장(文章)과 덕행(德行)이 겸비(兼備)한 인품(人品)으로 성장(成長)하도록 교훈(敎訓)하였다.양절공께서 소시(少時)에 명나라 조정(朝廷)에서 광록시소경(光錄寺少卿)이란 벼슬을 받고 황제(皇帝)의 부름을 받고 여러 차례 에 걸쳐 명나라 서울에서 체류(滯留:머물러 있음)한 바 있었으나 가정사(家庭事)에 구애(拘애:거리낌)됨 없이 지낸 것은 부인께서 내조(內助)의 임무(任務)로 제반가사 (諸般家事)를 능숙(能熟)하게 처리(處理)했기 때문이다.이런 까닭에 양절공이 대단히 애경(愛敬)하였다. 불행하게도 미미(微微.*작은 모양)한 병환(病愚)으로 인하여 별세하니 향년(享年)이 47세이다. 성종 2년(1471)선세자(先世子)를 덕종대왕(德宗大王)으로 세자빈 한씨(韓氏)를 소혜왕후(昭惠王后)로 추존(追尊)함에 따라 왕비의 어머니가 되므로 남양부부인(南陽府夫人)으로 추봉(追封)하고 남양군을 남양부(南陽府)로 승격(昇格)시켰다. 슬하에3남6녀를 생육(生育)하였다.연산군 3년(1497)3월 16일 판돈녕부사 서릉군(西陵君 諱 致禮)께서 인수대비(人粹大妃)의 명(命)을 받들어 임사홍(任士洪)으로 하여금 비문(碑文)을 짓고 병서(竝書)토록하여 같은 해 6월에 세웠다. 우리나라 여성(女性)의 신도비로서는 유일한 것이다. 묘:양주군 은현면 용암리 세향일:한식,추석,기제사.
   
이름아이콘 한스
2012-03-30 17:51
叅議公 韓 磌(참의공 한 전)13세 조선태종 8년(1408)~세종29년(1447)

贈 嘉善大夫 戶曹參判 通政大夫   守黃海道觀察使 全羅道觀察使(증 가선대부 호조참판 통정대부  수황해도관찰사 전라도관찰사 )

遺 事 :字 子珣 號霤岸 建文戊子生, 佐翼原從功臣, 黃海監司歷, 全羅監司歷,戶曹參議 贈戶曹參判, 世宗二十九年二月十五日卒  

墓: 京畿道 高陽郡 碧蹄面 奈遊洞 大乃山 案山 卯坐(경기도 고양군 벽제면 내유동 대내산 안산 묘좌)

配: 貞夫人平山申氏建文壬子生父掌令丁理祖判典農事彛曾祖典理判書諿外祖永禧君開城王玹景奉甲申十一月二十日卒墓與公上下兆

墓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내유동 대내산 안산 묘좌)
공(公)은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이다. 휘(諱)는 磌 이요 ,字는 子珣(자순)이고, 아호는 류안(霤岸) 이다. 순창군사를 지낸 서성부원군 영정(西城府院君)(永矴)의 둘째 아들이고, 녹사(錄事)를 지낸 증 판서공(贈 判書公 寧(녕)의 손자이며, 양절공(襄節公) 確(확)의 차제(次弟)이시다. 공은 태종(太宗) 8년(1408)에 출생하였는데 천성(天性)이 정직하고 형제지의(兄弟之誼)가 돈후(敦厚)하였으며 학덕(學德)을 쌓아 장차 벼슬길에 올랐다. 세종(世宗) 원년(1419)년 01월 17일(임술:壬戌))에 의영고승(義盈庫丞)에 임명, 세종 22년(1440)(경신:庚申) 11월 12일 32세에 공조참의(工曹參議)에 승진(陞進)되고 세종 24년(1442)(임술:壬戌) 10월 24일에 (동반외관직 종2품)황해도 관찰사(黃海道 觀察使)로 전임되어 선정(善政)하니 백성(百姓)들의 추앙을 받았다. 이 때가 공의 나이 34세 가 되시던 해 이다. 세종 26년(1444)(갑자:甲子)2월 22일에 형조참의(形曹參議)로 옮겼으나,이 해 다시 전라도관찰사(全羅道觀察使)로 부임, 세종 26년 11월 감목관이라는 직책을 혁파할 것을 조정에 요청하여 승인을 받았으며, 세종 27년 4월 전라도내에서 양식의 부족으로 백성들을 구휼하는 일이 시급하자 전라감사 한전은 도내 백성이 먹을 양식 7만석을 청하여 정부의 재가를 받았다. 세종27년(1445)(을축:乙丑) 7월 1일 37세에 호조참의(戶曹參議)로 전임되었으며. 세종 29년(1447)년(정묘:丁卯)1월 16일 공조참의(工曹參議)로 나갔으나, 다음 달인 2월 15일에 졸하니 향년 39세 이었다. 조정(朝廷)에서는 후(厚)한 부의(賻儀)(쌀과 콩米豆 10석과 관곽棺槨)를 내리고 가선대부 호조판서(贈 嘉善大夫 戶曹參判) 에 증직하였다. 세조(世祖) 3년(1457)8월12일에 좌익원종공신이등(佐翼原從功臣二等)에 녹훈(錄勳)되었다. 배위(配位) 정부인 평산 신씨(贈 貞夫人 平山申氏)는 장령(掌令) 丁理(정리)의 따님이고,아들은 7명으로 兵使 忠仁(병사 충인), 副正 忠義(부정 충의), 副正 忠禮 (부정 충례),參議 忠智(참의 충지), 參判 忠信(참판 충신), 僉使 忠常(첨사 충상), 都正 忠順(도정 충순)이다. 공의묘소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내유동 대내산 아래 묘좌원(奈遊洞 大奈山下卯坐原)에 안장(安葬)하였고 배 증 정부인 평산 신씨(贈 貞夫人 平山申氏)는 태종6년 (병술:丙戌) (영락:永樂4년)에출생 하시어,세조 (世祖)10년(1464)(갑신:甲申) 11월 20일 향년 59세에 졸하여, 공묘계하(公墓階下)에 안장(安葬) 하였다.시초(始初)에 묘갈(墓碣)이 있었는데 오랜 세월과 난세병화(亂世兵禍)로 비(碑)가 마멸(磨滅)되니 ,후손 魯洙(노수)와 厚福(후복)과 明洙(명수)가 힘을 합하고,魯洙(노수)가 비문(碑文)을 지어 묘비(墓碑)를 수립(竪立)하였다.

永慕齋(영모재)는 참의공 전(磌)과 배 증 정부인 평산 신씨(贈 貞夫人 平山申氏)의 향사(享祀) 또는 종친회(宗親會)나 혹은 향학(鄕學)등으로 쓰이며 1963년 4월에 건축(建築)한 목조건물(木造建物)이다.2001年4月30日,參議公先祖님齊室境內 에서 회의(각)종중에 齋室再建築費獻誠金配定(재실재건축비헌성금배정)하여, 2001년10월 아들일곱분이신(각)종중에서 힘을합하여, 再建築(재건축)하였다. 본당(本堂)은 15평, 부속 건물(附屬建物)이 20여평, 부지면적(敷地面積)은 220평이다. 세일제는 매년 10월5일(음력)봉행한다.

子 女 :   忠仁. 忠義. 忠禮.  忠智.  忠信.  忠常.  忠順.*가계도*   *국역왕조실록

사위 成  健: 文吏判 父順祖 子成景溫正郞贈副提學
   
이름아이콘 한스
2012-03-30 17:53
正郞公(韓 石+失)(정랑공 한 질)13세 大匡輔國崇祿大夫 補祚功臣 贈 領議政 淸城府院君  (대광보국 숭록대부 보조공신 증 영의정 청성부원군) 조선조 초기의 문신.순창공 영정(淳昌公:永矴)증 영의정 서성부원군의 아들로 녹사공 녕(錄事公:寧)증 병조판서의 손자이며, 어머니는 증 정경부인 의성 김씨(義城 金氏)니 의성군 양소공 영렬(襄昭公:英烈)의 따님이다. 음보(蔭補)로 여러 관직을 거쳐 호조좌랑 (戶曹佐郞),중추부도사,공조정랑 등을 역임하였다.30세에 종친부 부정겸 상의원 첨정이 되었는데 세종 23년 6월 11일 에 있었던 사헌부 지평 홍원용과 사련원 우정원 신후갑 등의 탄핵사건에 호조판서 김맹성, 참판 황치신과 호조좌랑 한질 등의 문제되어 판서 김맹성과 판서 황치신은 문책 되었으나 공은 무사 하였다.세조 원년(1455) 좌익원종공신 (住翼原從功臣)에 녹훈(錄勳)되었고 영의정을 지낸 아들 질경공 치형(質景公:致亨)의 현달 (顯達)로 영의정 청성부원군에 추증되었다. 배위는 증 정경부인 한양 조씨(漢陽 趙氏)니 도총제공 서(都摠制公:敍)의 따님이다. 슬하에 4남을 생육(生育)하니 장남은 첨정공 치원(僉正公:致元)증 이조판서이고 2남은 질경공 치형(質景公:致亨)이며 3남은 회양공 치량(淮陽公:致良)이요 4남은 봉사공 치미(奉事公: 致美)이다.贈 貞敬夫人 漢陽趙氏와合兆이며,墓 所在地:京畿道 楊州郡 13 長興面 三上里 山60番地 歲享日:陰曆10月3日
   
이름아이콘 한명수
2012-04-08 05:58
좋은자료 감사합니다, 수고많이 하셧고여,
   
 
  0
3500
    N     분류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1707 중앙종친회한갑수회장님 [1] 사철나무 2012-04-22 1191
1706 질문 돌림자를 알고 싶습니다 성환촌놈 2012-04-20 1079
1705 저도 뿌리를 찾고 싶습니다 [1] 헨리 2012-04-18 1045
1704 인터넷족보 수단신청서 작성에 대한 문의 [2] 화백 2012-04-14 1444
1703 요청 兵使公 (韓 忠 仁)(병사공 한 충 인) [1] 한스 2012-04-11 1178
1702 의견 분파조의 청은군 수정 필요합니다. 한성덕 2012-04-09 1130
1701 의견    Re..확인을 해야 할것 같습니다. [1] 만규 2012-04-09 1177
1700 의견       Re..직계 의견 철수 2012-04-09 1164
1699 의견          Re..알게 되어 감사합니다. 만규 2012-04-10 1142
1698 긍금한게 있는데 [1] 한병준 2012-04-07 1149
1697 청주한씨 한명회 자손을 챁고싶습니다 한병준 2012-04-07 1716
1696 답변    Re..엿이나 먹어 한민우 2012-04-27 1708
1695 안녕하세요 한병준 2012-04-07 1198
1694 요청 바로잡아 주십시요 한상관 2012-04-04 1189
1693 일반 족보에 올리려면 [1] 호호호 2012-04-02 1067
1692 양절공.참의공.정랑공 형제 [4] 한스 2012-03-28 1284
1,,,41424344454647484950,,,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