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국
서울여상 교장 <한국교육자大賞> 수상
정보화·국제통상금융
교육 등 늘 한발 앞서 변화 수용 결단
진학
대비 취업자 비율 3대 7, 전문계高 위기 속 빛나는 결실
국내
전문계 고교(옛 실업고)들은 긴 어둠의 터널에서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1970~80년대 우수 인재들이 몰려 '기술 입국'의 든든한 뒷받침이
됐던 시절은 까마득한 추억으로 다가올 뿐이다.
↑
올해 한국교육자대상 영예의 대상을 수상하게 된 한상국 서울여상 교장이
14일 교내에서 학생들에게 둘러싸여 축하 인사를 받고 있다.
김주성기자
poem@hk.co.kr
지난
10여년 동안 정원을 채우지 못해 인문계 고교로 전환한 학교가 속출했고,
그나마 남아있는 전문계고도 '전문 기능인 양성'이라는 취지는 실종된
채 취업 보다 대학 진학 비중이 되레 높아지고 있다. 교육계에서 '실업교육의
위기'를 지적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하지만
서울여상은 달랐다. 이 학교는 정원에 미달하거나, 대학 진학률이 취업률을
앞선 적이 단 한차례도 없다. 신입생의 중학교 내신 합격선(상위 20%)도
서울 지역에서 최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올해로 28번째를 맞은 한국교육자대상
대상의 주인공이 된 한상국(72) 교장의 열정이 만들어 낸 소중한 결실이다.
14일
서울 관악구 청룡동 서울여상 본관 3층에 자리한'연습기업 실습실'.
이 학교 학생들의 꿈이 영그는 '작은 기업'이다. 교실 3개를 합친 공간에서
학생들은 영업은 물론 재무, 구매, 생산, 은행업무까지 기업활동의 전
과정을 직접 배우고 실습한다.
일찌감치
특성화를 택한 그의 '선견'(先見)은 빛을 발하고 있다. 전국 30여개
학교가 특성화의 모범사례로 서울여상을 방문해 워크숍을 열고 운영
노하우를 벤치마킹해 갔을 정도다.
한
교장은 91년 무악재에서 교사(校舍)를 이전하면서 제2의 도약을 위한
토대로 실무교육 강화를 내걸었고,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협소한
실습실과 그저 그런 커리큘럼으로는 다가오는 지식기반 사회에 전문인력을
키우기 어렵다는 생각을 했어요. 학교를 옮긴 건 당시 성적은 우수하지만
가정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이 관악구에 많다는 사실을 간파했기 때문이지요."
한
발 앞서'변화'를 받아들인 그의 결단은 고비 때마다 제 구실을 톡톡히
했다. 96년 인터넷이란 용어조차 생소하던 시절, 서울여상은 일찌감치
학교 홈페이지를 구축하고 각종 자료를 외부에 공개했다.
홈페이지
경진대회, 정보화 축전 등 각종 정보화 교육을 주도하며 사무업무 능력에
치우쳐 있던 상업학교의 역할을 일신하는데 앞장섰다. 학교 홈페이지
누적 방문자 수는 전문계고로는 보기 드물게 340만여명을 헤아린다.
정보화로
기반을 다진 그는'국제통상 및 금융'에 승부수를 걸었다. 2004년 이
분야 특성화고로 선정된 이후 서울여상은 금융과 e비즈니스 등 통상이
결합한 산학협력의 본보기가 됐다.
이
학교에서 재학 중 증권투자상담사(CSIC), 국제무역사 등의 전문 자격증을
딴 학생들을 찾기란 어렵지 않다. 한 교장은 "'서울여상'이란 옛
교명(校名)을 고수한 것도 앞선 교육에 대한 무한한 자부심 때문"이라고
했다.
그는
많은 전문계 고교들이 위기 타개 방안의 하나로 ○○정보고, ××인터넷고
등 교명 변경에 열을 올렸지만 정작 중요한 것은 전문고로서의 정체성과
실력이라고 굳게 믿고 있다. 서울여상의 진학대비 취업자 비율은 예나
지금이나 3대7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한
교장의 소신은 뚜렷하다. "공교육의 위기를 걱정하는 목소리가
많지만 학생의 눈높이에서 미래를 바라보면 변화를 두려워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경기중ㆍ고교와 미국 핸오버대를 졸업한 한 교장은
69년 서울 문영여중 교사로 교직과 연을 맺은 뒤 74년부터 서울여상
교장을 맡고 있다. 구한 말 참정대신을 지낸 한규설의 증손자다.
김이삭
기자 hiro@hk.co.kr
[출처
: ⓒ 인터넷한국일보(www.hankooki.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