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행록(孝行錄)

 
금락당 한경리(琴樂堂 韓璟履 : 純祖 30年(1830) ∼ 光武 7年(1903) 28世)
 공은 효자(孝子)로 자(字)는 도명(道明)이요 호는 금락당(琴樂堂)이다. 증 참판 하경(夏卿)의 아들로 성집공(聖執公 : 元瑞)의 손자이며 만회당 필성(晩晦堂 : 必聖)의 7대손이고 어머니는 증 정부인 전주 최씨(全州 崔氏)이니 창손(昌孫)의 따님이다.
 어려서부터 효성(孝誠)이 지극하여 9살의 어린시절에 아버지를 여의니 그 슬퍼함을 조객(弔客)들이 차마 눈뜨고 볼 수 없었으며 성장(成長)하여서도 항상 어릴 때에 아버지를 잃었음을 탄식하면서 어머니를 섬기기에 온갖 정성을 다하고 그 뜻을 한번도 어긴 일이 없었으며 명산(名山)에 오직 어머니만이라도 오래오래 살으시기를 기도 하기 무릇 30년에 이르렀다.
 때로는 밖에 맛있는 과일이나 색다른 별미라도 생기면 이를 먹지 아니하고 기어히 가져와 어머니께 드린 다음 맛보고, 또 어머니가 부스럼으로 오래 고생하여 의사가 수술 하여도 낫지 아니 하니 그 부스럼을 입으로 빨아 낫게 하고 어머니 나이 80의 고령에 이르도록 한결같이 효성이 지극한지라 하늘이 낳은 효자라고 칭찬이 자자하였다. 고종 12년(1875) 어머니가 돌아가게 되자 이 때에도 손가락을 잘라 그 피를 마시게 하여 어머니로 하여금 3일간을 더 살게 하고 마침내 작고하니 눈이 오나 비가 오나 날마다 무덤을 찾아 3년간을 하루같이 성묘하였다.
 이때 마침 개 한마리가 있었는데 이 개도 항상 공을 따라 무덤길을 왕래한지라 사람들은 그 개만 보면 무덤에 가는 것을 짐작하게 되었다. 그 효성이 이러한지라 향청(鄕廳 : 지방관청)에서 누차 효자로 추천하였던바 호군(護軍)의 벼슬을 내리고 광무 7년(1903) 공이 사망하자 본도 관찰사가 왕에게 상소하여 비서원승(秘書院丞)의 벼슬을 내림과 아울러 정려(旌閭)의 은전을 베풀었다,
 공의 효행이 이러하였거니와 아들 남사공 흥교(南史公 : 興敎)도 아버지 못지않게 효성이 지극한지라 사람들은 효부(孝父)는 효자(孝子)를 낳는다더니 공을 두고 하는 말이라 하여 칭찬이 끊이지 않았다.
 배위는 증 숙부인 나주 임씨(羅州 林氏)이니 영진(暎震)의 따님이다.
 아들은 남사공(南史公 : 興敎)이다.

 
번호     이 름 조회
1 한림 1906
2 한수기 1911
3 한기량 1951
4 한치형 1980
5 한계형 2004
6 한이함 2012
7 한용순 2014
8 한제세 2034
9 한성우 2056
10 한명석 2115
11 한성보 2132
12 한문언 2151
13 한성시 2162
14 한인보 2165
15 한술 2168
16 한이호 2203
17 한달 2217
18 한중조 2223
19 한경리 2259
20 한세기 2266
123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