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례 (凡例=일러두기)
|
1. |
이 족보는 「청주한씨7교인터넷한글대동족보」라 칭한다. |
|
|
|
1. |
|
우리 한씨의 대동족보(大同族譜)는 조선조 광해(光海) 9년(서기1617, 단기3950)
정사(丁巳)에 처음 발간된 후, 숙종(肅宗) 30년(서기1704, 단기4037) 갑신(甲申)에 재간(再刊),
영조(英祖) 24년(서기1718, 단기4081) 무진(戊辰)에 삼간(3刊),
정조(正祖) 13년(서기1789, 단기4122) 기유(己酉)에 네번째로 발간되었다.
경술(庚戌) 국치(國恥) 후 경신(庚申:서기1920, 단기4253)에 편찬, 발간된 대동족보는 잘못된
기록이 많다하여 갑자(甲子:서기1924, 단기4257)에 이를 폐기하고 다시 편찬, 발간된 대동족보를 전후통오교(前後通五校 : 庚申·甲子譜)라 칭한다.
이상 5회에 걸쳐 발간된 대동족보를 근거로 각 지종파별(各 支宗派別)로 편찬,
발간된
파보(派譜)를 참고로 정묘(丁卯:서기1987, 단기4320)에 6교 대동족보를 편간하게 된 것이다.
|
▲ |
이상 여섯차례의 대동족보를 모두 옮겨실어 「7교인터넷한글대동족보」를 편찬한다. |
|
1. |
시조할아버님으로부터 14세(世)까지를 상세계(上世系)로 정하고 6교대동족보와 동일하게
차례로 기록한다.
|
|
2. |
중세계(中世系) 이하는 14세 파조(派祖)를 기준으로 현존 세계(世系)까지 종파차례로
기록한다.
|
|
3. |
처음 발간된 족보부터 6교대동족보까지의 각 족보의 서문을 옮겨실어 후손들에게 조상의
얼이 이어지도록 한다.
|
|
4. |
비석의 글, 선조들이 남긴 업적, 머릿글 등 문헌은 원문 번역문을 함께 싣는다.
|
|
5. |
기록방법을 6교대동족보 규정에 따라 6교보 이후의 출생, 사망, 혼인 등 사유를 차례대로
덧붙여 적어넣는다. |
|
|
① |
6교대동족보 외에 각 종파별로 발간한 족보에 의거하되 소목(昭穆=족보의 계대)이 상치되는
때 또는 이의가 있을 때는 총회 또는 이사회 의결로 확정한다.
|
|
|
② |
종파의 차례는 6교대동족보에 준한다.
|
|
6. |
기재요령은 6교대동족보의 예와 같이 한다. |
|
|
① |
연도표시 |
|
|
|
서기로 년·월·일을 기재함을 원칙으로 하되 연도를 환산하기 힘든 경우는 6교대동족보에
실린 간지(干支)를 그대로 적용한다.
|
|
|
② |
학력 |
|
|
|
최종학력 등록여부는 「가계보와 인적사항」서류 신청자의 의사에 따른다.
(학력을 기재하지 않아도 무방)
예 : 00대학교 영문학과 졸업. 학사(學士). 00고등학교 졸업 등
|
|
|
③ |
경력 |
|
|
|
경력사항은 하나만 등록하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예 : 행정자치부 재직중, 00회사 대표이사 역임, 농업 종사중, 건축업 종사중,
축산업 종사중, 건설부장관 역임, 00학교 교사 재직중, 개인사업, 17회 고등고시 합격
판사 재직중, 영의정(領議政) 역임, 00대학교 박사학위 등.
|
|
|
④ |
상훈 |
|
|
|
국가유공 사항중 훈장 이상으로 하며 훈장명만 기재한다.
|
|
|
⑤ |
묘 표기 방법 |
|
|
|
묘 : 000도 00시 00면 00리 산0번지 뒷산 선산.
을좌(乙坐), 합장 또는 쌍분(雙墳) 등.
|
|
|
⑥ |
부인 : 의성 김태정(金泰情), 부친 상갑(相甲)
|
|
|
⑦ |
남편 : 김태식(金泰植) 김해인(金海人)
|
|
|
⑧ |
6교대동족보에 빠진 분은 추가로 등재할 수 있고, 잘못된 기록(오자, 탈자, 세대 착오 등)은
수정할 수 있다. 다만 그 내용이 중대한 것은 그 근거(가승보, 제적등기부등본 등)를
제시해야 한다.
|
|
|
⑨ |
기타사항은 6교대동족보 범례에 따른다. |
|
|
|
|
|
7. |
번역 기준은 국·한문 혼용으로 하되 각 항목별 표기 방법은 편찬위원회에서 결정한다. |
|
|
|
▲ |
족보 편집 방법 |
|
1. |
1단계 : 이름 입력
6교대동족보에 등록된 이름을 우선 입력한다.
|
|
[기대효과] |
|
|
① |
뿌리를 모르는 경우라도 이름 입력이 완료되는 즉시 뿌리를 찾는데 도움이 된다.
|
|
|
② |
정서작업을 할 필요 없이 「가계보와 인적사항」서류 접수 즉시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정서작업에 따른 시간과 경비를 절감할 수 있다.
|
|
|
③ |
이름 입력이 완료되면 인터넷족보가 완성되기 전이라도 중앙종친회로 전화만 하면
이름으로 검색하여 즉시 뿌리를 찾을 수 있다. |
|
|
④ |
종파와 계대(系代)를 모르는 일가는 별록으로 수록한다.
|
|
2. |
2단계 |
|
|
① |
「가계보와 인적사항」 및 기존 족보를 한글로 번역하여 입력한다.
|
|
|
② |
1차 입록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신규 「가계보와 인적사항」을 입력한다.
|
|
|
③ |
정서작업 없이, 「가계보와 인적사항」이 들어오는대로 입력하며, 「가계보와 인적사항」이 없는
경우 기존족보에 실린 내용을 그대로 번역, 입력한다.
|
|
|
④ |
「가계보와 인적사항」서류 접수순서와 상관없이 입력한다(계대 자동 정열됨)
|
|
3. |
교정 |
|
|
종친회 사무실에서 입력작업을 하므로 현장에서 바로 교정을 볼 수 있어 경비를 절감하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최소 3회 이상 교정을 본다.
|
|
4. |
제작 기간 |
|
|
제작 기간은 편찬위원회에서 결정한다.
|
|
5. |
인터넷한글대동족보 검색방법 |
|
|
편찬위원회에서 추후 공시한다.
|
|
6. |
입록 페이지 |
|
|
6교대동족보 약 35,000페이지를 한글로 번역하고, 6교보에 누락된 일가들의「가계명단과 인적사항」
이 새로 접수, 추가되면 5만페이지 이상 될 것으로 추정된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