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절록(忠節錄)

 
구와공 한응성(龜窩公 韓應聖 : 明宗12年(1557)∼宣祖25年(1592) 18世)
 공의 휘(諱)는 응성(應聖) 자(字)는 경기(景期)이고, 호는 구와(龜窩) 이다. 대호군공 추(大護軍公 추)의 아들이고 시정공 계상(寺正公 繼常) 의 손자 이며 안양공 종손(安襄公 終孫)의 현손(玄孫)이다. 어머니는 숙부인 함양박씨(淑夫人 咸陽朴氏)로 생원 승호(生員 承豪)의 따님이다. 공은 명종(明宗) 12년(1557) 2월7일생으로 중봉 조헌(重峯 趙憲) 선생의 문인(門人)이다. 선조(宣祖) 25년(1592)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조헌이 옥천(沃川)에서 의병(義兵)을 일으킬 때 공은 수하(手下) 수십명을 데리고 합세 8월에 청주(淸州)에서 분전(奮戰) 적군을 격퇴하고 금산(錦山)으로 진격하였다.
이 싸움에서 선봉(先鋒)이 되어 용전하다가 칠백의사(七百義士)와 함께 전사(戰死)하였다. 증 통정대부 이조참의 겸 시강원 보덕(贈 通政大夫 吏曹參議 兼 侍講院 輔德)이다. 충신정려(忠臣旌閭)가 내려졌다. 공이 순몰지(殉歿地)인 금산 종용사(錦山 從容祠)에 배향(配享)되지 못하였다가 1961년 9월에 유림(儒林)의 건의(建議)로 종용사(從容祠에 추배(追配)되었다. 배위(配位) 증 숙부인 남원 양씨(贈 淑夫人 南原 楊氏)는 진사 순(進士 洵)의 따님이고 아들은 충의위 선(忠義衛 선)이다. 공이 전사(戰死)하니 동계면 구미리 산33 율호 갑좌(東溪面 龜尾里 山33 栗湖 甲坐)에 장사(葬事) 지냈다. 노사 기정진(蘆沙 奇正鎭)이 갈명(碣銘)을 찬(撰)하고 연재 송병준(淵齋 宋秉준)이 묘표(墓表)를 찬하였다. 배 증 숙부인 남원 양씨(配 贈 淑夫人 南原 楊氏)와 쌍조(雙兆) 이다.

 
번호     이 름 조회
21 한일휴 3161
22 한겸 3163
23 한호 3181
24 한백록 3240
25 한순 3315
26 한필원 3363
27 한유혁 3365
28 한필적 3436
29 한남수 3502
30 한천 3533
31 한유기 3576
32 한득홍 3623
33 한천두 3636
34 한훈 3769
35 한유후 3812
36 한윤보 3836
37 한수겸 3839
38 한흥보 3897
39 한리 3913
40 한위겸 4007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