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열공 한상질(文烈公 韓尙質 : ?~定宗 2年(1400) 12世)

公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다. 휘(諱)는 상질(尙質)이요 초휘는 선복(善復)이고 자는 중질(仲質), 호는 죽소(竹所)이다. 판후덕부사(判厚德府事) 문경공 수(文敬公 脩)의 아들이고 어머니는 길창군 권 적(吉昌君 權 適)의 따님이다. 그리고 평간공 공의(平簡公 公義)의 손자이다.

일찍이 여러 관직을 역임하고 공민왕 23년(1374) 대군시학(大君侍學)을 거쳐 우왕(禑王) 6년(1380) 좌랑(佐郞)으로 문과에 급제하였다. 그후 요직을 거쳐 형조판서(形曹判書)에 오르고 그 해 상소하기를 “지금 대성(臺省)에서는 대간(臺諫)들이 언사(言事)로 외부에 폄출(貶黜 : 모략하여 벼슬을 떨어뜨림)되어 있으니 청컨대 이들에게 경관(京官)을 주어 언로(言路)를 여소서” 하였다. 그 후 우상시(右常侍), 예문관제학(藝文館提學) 등을 역임하였다. 공양왕(恭讓王) 2년(1390) 천추사(千秋使)로 명나라에 가서 윤 이(尹 彛), 이 초(李 初)의 무망(誣忘)을 변명하고 돌아와, 12월에 서북면도관찰출척사 겸 병마도절제사(西北面都觀察黜陟使 兼 兵馬節度使)를 지냈다.

1392년 7월 조선 왕조가 건국된 뒤 예문 관학사로서 주문사(奏聞使)를 자청하여 명나라에 가서 국호의 결정을 요청하여 ‘조선(朝鮮)’이라는 국호를 결정받고 이듬 해 2월에 돌아왔다. 그가 중국으로 떠나기 이틀 전에 기로(耆老)와 백관(百官)이 도당(都堂)에 모여 국호를 의논하였는데, 이성계(李成桂)의 고향인 화령(和寧)과 단군 · 기자 · 위만의 세 조선을 상징하는 조선이라는 두 개의 칭호를 가지고 명나라 황제에게 품의한 결과, ‘조선’이라는 칭호가 아름답고 유래가 오래되었다는 이유로 국호로 선정하였다. 명나라는 기자조선을 의식하고 ‘조선’이라는 칭호를 새 왕조의 국호로 선정하였으나, 조선측에서 생각하는 ‘조선’은 단군조선과 기자조선의 문화전통을 동시에 계승한다는 의미에서 국호의 후보로 추천한 것이다.

그것은 국호를 제정하기 이전인 1392년(태조 1) 8월에 이미 단군을 동방의 첫 수명군주(受命君主)로서 국가에서 평양부로 하여금 시제(時祭)를 지내도록 조처한 사실에서 확인된다. 이 공으로 전지(田地) 50결(結)을 하사(下賜)받았다. 1393년 9월 양광도관찰출척사(楊廣道觀察黜陟使)가 되고, 1397년 경상도관찰출척사를 거쳐, 이 해 예문춘추관태학사(藝文春秋館太學士)가 되었으나 정종(定宗) 2년(1400) 1월 10일 졸하니 예장(藝葬)하고 시호(諡號)를 문렬(文烈)이라 내리고 의정부 좌찬성(議政府 左贊成)에 증직(贈職)되었다.

배위(配位) 창화군부인 경주 이씨(昌化郡夫人 慶州 李氏)는 충렬공 성림(忠烈公 成林)의 따님이고 창화군부인 청주 송씨(昌化郡夫人 淸州 宋氏)는 도사공 신의(都事公 臣議)의 따님이다. 아들은 감찰공 기(監察公 起)이고 손자는 충성공 명회(忠成公 明澮)와 이양공 명진(吏襄公 明진)이다.

公은 정종(定宗) 2년(1400) 1월 10일 졸하니 서곡리 남록(瑞谷里 南麓)에 안장하였다. 상묘(上墓)는 배위 창화군부인 경주 이씨(配位 昌化郡夫人 慶州 李氏) 묘이고 하묘(下墓)는 公과 배위 창화군부인 청주 송씨(昌化郡夫人 淸州 宋氏) 묘인데 십이지신상(十二支神像)의 고려 고분벽화(高麗 古墳壁畵)로 장식(裝飾)되었다. 약 290년 전에 금천군수 숙(金川郡守 塾)이 세운 단갈비(短碣碑)가 퇴훼(頹毁) 상태에 이르니 종의(宗議)에 따라 묘비를 개수(改竪)하기로 하고 1997 년 4월 5일에 세웠다. 상석(床石)도 큰 것으로 교체하였다.

1950년 6·25전란이 휴전됨에 따라 공의 묘역은 민통선(民統線)내에 있게 되고 출입이 금지(禁止)되었으나 1980년 4월 5일 민통선 출입의 완화로 종인들이 성묘(省墓)하기에 이르니 묘가 도굴(盜掘)되고 부장묘(副葬墓)로 알려진 하묘(下墓)에서 아련히 벽화(壁畵)가 보였다. 모든 절차(節次)를 거쳐 문화재연구소(文化財硏究所)에서 1991년 4월 10일 이 묘를 발굴(發掘)하니 석실(石室) 내부의 길이 2.82m, 넓이 1.18m, 높이 1.35m의 무덤은 고려양식인 횡구식(橫口式)이며, 중앙(中央)에 주인 좌상(坐像)을 좌우에 각각 5인의 인물입상(人物立像)과 입구의 낮은 벽엔 시종(侍從)으로 보이는 인물입상을 배치(配置)하고 관모(冠帽)위엔 십이지신상(十二支神像), 천정(天井)엔 북두칠성(北斗七星)과 삼태성(三台星)의 성숙도(星宿圖)가 묘사조각(描寫彫刻)되어 있고 앞가리개가 특이(特異)하며 색채(色彩)와 조각 등이 선명(鮮明)하였다. 고증작업(考證作業)과 모사(模寫)를 마치고 동년 8월 28일 봉분(封墳)을 마쳤다. 상묘(上墓)도 확인하였다.

화상찬(畵像贊)

양촌 권 근(陽村 權 近 : 文烈公 尙質의 外從叔)이 문렬공 상질(文烈公 尙質)의 화상(畵像)에 대하여 찬(贊)하기를 

역문(譯文)

정당한공(政堂韓公)은 국초(國初)에 천자(天子)에게 들어가 아뢰어 나라의 칭호(稱號)를 변경(變更)할 것을 청(請)하여 조선(朝鮮)이라는 좋은 칭호를 얻은 사람이다. 지금 그의 화상(畵像)을 보고 다음과 같이 경건(敬虔)히 찬(贊)을 짓는다. 옥처럼 깨끗하고 대처럼 굳은 절개(節介) 하늘에서 타고난 바탕이요 학문(學文)으로 닦은 덕(德)이로다.

푸른 머리로 재상(宰相)이 되었으며 조정(朝廷)에 충심(忠心)을 바쳤도다. 은혜(恩惠)는 백성(百姓)에 미쳤고 공적(功績)은 나라에 남아 있도다. 영민(英敏)한 그의 명성 (名聲)과 거룩한 그의 공적은 조선이란 좋은 칭호와 함께 영원(永遠)히 남으리.

천계(天界)를 나타내는 커다란 원(圓)이 표현(表現)되어 있고 그 안쪽에 북쪽으로부터 남쪽으로 북두칠성(北斗七星), 삼태성(三台星), 북극성(北極星)이 묘사(描寫)되어 있으며 북두칠성의 좌우(左右)에는 두 무더기 구름이라고 믿어지는 것이 나타나 있다. 그외 깊은 뜻이 담겨져 있으나 약하다.

당초(當初)에 공의 묘비가 있었다고 전하나 장구(長久)한 세월과 난세병화(亂世兵禍)로 없어지니 약 290년 전에 공의 11대손 금천군수 숙(金川郡守 塾)이 단갈비(短碣碑)를 세웠다. 전면은 문렬공 한상질지묘(文烈公 韓尙質之墓)로, 후면은 사적(事績)을 292자로 각자(刻字)하였다. 문경공 수(文敬公 脩)의 단갈비도 같은 연대(年代)에 세웠다고 전한다.

公이 정종(定宗) 2년(1400) 1월 10일 졸함에 서곡리 남록(瑞谷里 南麓)에 예장(藝葬)하였다. 묘비(墓碑)와 신도비(神道碑)가 있었다고 전(傳)하나 장구(長久)한 세월(歲月)과 난 세병화(亂世兵禍) 등으로 퇴훼(頹毁)되어 없어지고 약 290년 전에 금천군수 숙(金川郡守 塾)이 세운 단갈비(短碣碑)도 퇴훼 상태에 이르니 1997년 4월 5일 중앙종친회 상임고문 상대 찬(相大 撰)과 서울대학교교수 문학박사 상갑 서(相甲 書)로 후손이 세우고 상석(床石)도 개수(改竪)하였다.

당초(當初)에 신도비가 있었는데 다음의 글이 있었다고 전한다.

부모 덕에 의존하여 살아온 버릇, 임금님의 신임 또한 얻을 길 없어, 벼슬길에 나가는 것이 달갑지 않아, 단념하자 망설임도 진정인가봐. 한공께서 이태조와 서로 만나니, 문무겸비 그 임금에 그 신하로다. 효도없이 그 충성이 어찌 있으며, 총애없이 그 은덕을 어찌 얻으리. 효와 충과 은애로써 누린 부귀가 장하도다. 누구와도 견줄 이 없어, 물도 차면 기우는 것이 자연의 이치. 높은 자리 위험한 것 알고 있지만, 공의 경우 이들과는 본시 판이하여, 멸사봉공 극기복례(克己復禮 : 제 욕심을 누르고 예의 범절을 쫓음) 견지하면서, 임을 향한 일편단심 뜨거운 불 길, 만만세가 지나가도 변함없으리. 이 명문을 돌에 새겨 신문에 세워 영원토록 후인에게 알려드리오.

(이의 傳文이나 古老들의 傳說을 探求하며 記迷하며 日後의 博識君子의 考按이 있기를 바란다.)

번호     글 제 목 조회
6 한천 4028
7 한공의 4865
8 한수 5510
9 한상환 4524
10 한상질 5191
12345678910,,,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