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행록(學行錄)

 
좌랑공 한몽일(佐郞公 韓夢逸 : 19세)
공의 휘(諱)는 몽일(夢逸)이요 자는 자진(子眞)이요 호는 봉악(鳳岳)이니 선조 정축(宣祖 丁丑 : 1577)에 태어났다. 고위(高位)는 응(應)이요 조고(祖考)는 여준(汝俊)으로 돈암공 후(돈菴公 後)이다. 인조 갑자(仁祖 甲子 : 1624)에 사마시(司馬試)에 올라 형조좌랑(形曹佐郞)을 거쳐 단성(丹城), 고령(古靈), 영춘(永春) 등 세고을 수령(守令)으로 청백(淸白) 봉공(奉公) 하였다.
공은 일찍이 학문에 힘써 정한강(鄭寒岡 : 諱 述) 문하(門下)에서 수학(修學) 고제자(高弟子)가 되니 그 문하생들의 선망(羨望)이었다. 공이 영춘(永春) 고을살이를 끝으로 관직을 떠나 후학(後學) 양성(楊成)에 힘쓰던 중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남한산성(南漢山城)이 적병에게 압박당함을 보고 행제소(行在所 : 임금이 일시 머무르던 곳)로 달려가 임금에게 문안드렸다는 기록을 판서(判書) 정세규(鄭世規)의 기록에서 볼 수 있다.
인조 을유(仁祖 乙酉 : 1645)에 수(壽) 69하고 타계 하였다. 공의 배위 창녕 성씨(昌寧 成氏)는 판관 정국(判官 鄭國)의 따님으로 공과 합조(合兆)이다. 공의 세 읍(三邑 : 세고을)을 다스리는데 청백으로 봉공하여 고을 사람들이 그의 청덕(淸德)을 기리기 위해 기적비(紀績碑)를 세웠다. 아들은 장례원(掌隷院) 사의(司議) 시중(時重)이다. 공이 지방수령(地方守令)으로 재임할 때 청렴(淸廉)하게 다스린 공(功)을 기려 주민들이 공의 청덕(淸德)을 칭송하는 송덕비(頌德碑)를 산청(山淸) 노변(路邊)에 세웠다.
묘 : 충북 제천시 금성면 양화리 선녀동 선녀봉

 
번호     이 름 조회
81 한효중 2890
82 한효상 3295
83 한몽일 3111
84 한사영 3749
85 한석 2540
86 한백기 2493
87 한구 3146
88 한치상 3683
89 한성헌 3175
90 한태동 3315
91 한지 3096
92 한식 3019
93 한석견 2420
94 한경의 2564
95 한시유 2854
96 한치윤 3211
97 한진서 2449
98 한필교 3517
99 한장석 3154
100 한상동 2767
123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