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서공 한인급(判書公 韓仁及 : 선조 16년(1583~인조 22년(1644) 20世)
조선 중기의 문신이요. 서화가, 자는 원지(元之), 호는 현석(玄石), 서석(瑞石), 충정공(忠靖公 : 應寅)의 아들로 사직공(司直公 : 敬男) 증 영의정의 손자이며 어머니 정경부인 전주 리씨는 현감공(縣監公 : 聃齡)의 따님이다.
선조 34년(1601) 진사시에 합격하고 광해군(光海君) 1년(1609)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승정원에 들어가고 다음 해 여러 관직을 거쳐 전적(典籍)으로서 춘추관 기사관을 겸하여 《선조실록》편찬에 참여하였다. 그 뒤 정언(正言), 사서(司書), 수찬(修撰) 등을 역임하다가 광해군 5년(1613) 충정공이 계축옥사(癸丑獄舍)에 연루(連累)되자 사직하였다. 이듬 해에 충정공의 상(喪)을 당하여 지성으로 상기를 마친 후 두문불출(杜門不出)하고 외인(外人)들의 출입도 사절하였다.
인조 1년(1623)에 병조좌랑(兵曹佐郞)이 되었고 누진(累進)하여 종성부사(鍾城府使), 한성부 우윤(漢城府 右尹), 지중추부사, 형조판서, 개성유수 등을 거쳐 인조 21년(1643)에 관직을 물러났다. 세자 책봉 주청사(世子 冊封 奏請使)로 명나라에 다녀오기도 하고 이 괄(李 适)의 난 때는 삼도독향어사(三道督餉御使)가 되어 군량을 조달하였고 지돈녕부사로 진향부사(進香副使)가 되어 인평대군(麟坪大君)을 따라 심양(瀋陽)에도 다녀왔다. 공은 서예에 뛰어나 당시 태학(太學)의 장소(章疏), 비문(碑文), 나라의 신주(神主) 등을 많이 썼다. 그리고 정사(靖社 : 인조반정을 결행한 공), 소무(昭武 : 이인거가 일으킨 난을 적발 한 공) 원종공신(原從功臣) 1등에 각각 녹훈되기도 하였다.
배위 정부인 교하 노씨(交河盧氏)는 부솔공(副率公 : 竝俊)의 따님이다. 슬하에 2남 2녀를 생육하니 장남은 감역공 진원(監投公 振遠)증 좌참찬이고 차는 예천공 명원(醴泉公 命遠)이다.
 
번호     이 름 조회
1 한세환 2497
2 한충신 2619
3 한광수 2688
4 한충상 2796
5 한충례 2857
6 한호문 2944
7 한계복 3025
8 한충지 3051
9 한치례 3075
10 한위 3085
11 한충순 3090
12 한전 3098
13 한광조 3142
14 한치원 3146
15 한용탁 3403
16 한후기 3510
17 한휴 3514
18 한사직 3553
19 한광회 3570
20 한인급 3589
123